한국반도체연구조합 차세대전력반도체 소자제조전문인력양성

사업소개

  • "산·학 연계형 프로젝트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전문인력양성을 통한
    산업 생태계 육성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"

사업목표

  • 사업목표
  • 1. 전력반도체 주력 산업분야별 고급인력 양성

    • 제조공정/소자설계/시스템 분과별 인력 양성
    • 석·박사급 R&D 인력 양성
  • 2. 현장밀착형 인재양성 및 산업계 유입 촉진

    • 50여 개 전력반도체 기업을 포함하는 컨소시엄 구성
    • 산학프로젝트, 인턴쉽 등 현장실습 교육 추진
  • 3. 산업 수요 반영 교육 개발 및 개선

    • 전력반도체 기술 중심 융·복합 학위과정 개발
    • 학부생/재직자 대상 실무중심 이론/실습 단기교육
  • 4. 고용 연계 및 성과 환류체계 구축

    • 컨소시엄을 통한 전문가포럼 등 운영
    • 인턴십-채용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Job Fair 개최

성과목표(5년간)

  • 675명

    학위형 과정
    수혜인원

  • 1,350명

    비학위형 과정
    수혜인원

  • 85%

    취업률

  • 198건

    산학프로젝트

  • 90건

    교과목 개발/개선 건수

  • 소관부처
    (산업통상자원부)
  • 전담기관
    (한국산업기술진흥원)
  • 주관기관
    (한국반도체연구조합)
    • 제조공정 분과

      광운대학교

      동의대학교

      해양대학교

    • 소자설계 분과

      부산대학교

      세종대학교

      홍익대학교

    • 시스템 분과

      부경대학교

      성균관대학교

      한양대학교

    • 파워반도체상용화센터(부산TP)
      • 소자·제조 실습지원
    • IDEC(부산대, 성균관대, 한양대)
      • 설계실습지원
  • 컨소시엄 기업(총 51개 사)

    산업계 교육 수요 제시

    현장실습 / 산학프로젝트 참여

    배출인력 채용 연계 협력

※ 분과별 대표 대학(광운대, 부산대, 부경대)을 통해 교육과정 개발, 개선, 교육 등 유기적인 협력 추진 (총괄주관기관과 분기별 회의 추진)

  • 산업계 관점

    석·박사급 전문인력양성을 통한 전력반도체분야 글로벌 경쟁력 확보
    • 해외 기술 의존이 심각한 상황에서 전문인력 공급을 통한 새로운 성장 기반 마련
    • 직능별, 직급별 재직자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업직무능력 향상
  • 인력 수요 관점

    전력반도체 분야 중소·중견기업의 전문인력 부족문제 해소
    •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이수한 전문인력의 산업계 유입
    • 기업 주도의 실무형 인재 양성을 통한 채용 인력의 재교육 비용 감소 및 생산성 향상 효과
  • 인력 공급 관점

    전력반도체 산업 밀착형 우수 인재 양성
    • 기업 수요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, 산학프로젝트 수행 등을 통해 즉시전력화 가능한 고급 전문인력양성
    • 분과별 기업 수요를 반영한 표준 교육과정의 수립 및 제시를 통해 기술적 열위에 있는 전력반도체 분야의 고급 전문인력양성 확산 기대